OSI 7 Layer란?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국제표준협회ISO에서 서로 다른 컴퓨터간에 통신시 네트워크 구조에 상관없이
통신할수 있도록 만든 표준모델입니다.
국제표준협회(ISO)에서 이기종 컴퓨터간의 통신 기능을 7계층으로 구분하여
각 계층마다 표준화된 서비스와 프토로콜을 규정하여 다른 기종간에 통신시 네트워크 구조에 상관없이
통신할 수 있도록 국제 표준인 OSI 모델을 규정하였습니다.
OSI 7 Layer가 생긴 이유.
- 제일 처음 통신을 할때는 각 회사마다 다른 프로토콜로 통신을 하였고,
이로 인해 서로 통신이 잘 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표준화된 프로토콜이 필요하였고 그래서 만들어진 프로토콜이 OSI 7Layer 입니다.
(인터넷을 중간에 두어서 통신을 하게 하였는데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TCP/IP입니다.)
OSI 7 Layer 이점.
- 서로 통일된 표준화를 사용하므로써 서로 통신할때 복잡한 점이 감소되었고,
각각의 Layer 장비들로 작업을 모듈화하기가 수월해졌습니다.
그래서 개발 속도가 빠르게 되었고, 끝으로 서로 새롭게 배우거나 가르치는 부분이 수월해졌습니다.
- Reduces complexity 복잡함이 감소되었고
- Standarizes interfaces 표준화가 되었으며
- Facilitates modular engineering
각 장비별로 모듈화 하여 작헙하기 수월해졌으며
그래서 개봘이 가속화 될수 있었고
서로 배우거나 가르치는 것이 단순화 되었습니다.
L7 : Communication을 하기 위한 Application ( ping(icmp 프로포콜), telnet(23번포트), FTP(20,21Port))
L6 : Data Format을 결정(압축을 하거나 암호화를 하거나)
L5 : (HTTP, SQL, ATM) Application이 Session 관리.
L4 : 통신 보장(V.C), 전송 보장(몇번째는 받고 못받았는지 구분하기위해 Sequence Number 사용)
- 상위 Application 정보가 있다.(해당 포트넘버를 열어야 하기 때문에 ex)telnet 정보에 23번 포트를 열어주는 것 같은..
- flow control
- error control
OSI 7L 로 만들어진 프로토콜이 아직까지없기 때문에
L3: Logical address
- IP가 자기것인지 아닌지 확인 맞으면, 가지고 가고 아니면 Drop시킨다.
- PC나 서버는 자기것이아니면 Drop시키지만 Router는 최적의 경로를 찾아 보낸다.
- L4 정보 ( TCP한테 줘야 하는지 UDP한테 줘야 하는지 알아야하기 때문에)
L2: MAC
(전송하기 위해 Media가 필요한데 그것을 전송하기 위한 포맷)
- Error Detection (error control(은 아님)) - Point to Point : Address가 필요 없고, - Multi access : Address가 필요함
- L3 정보(상위프로토콜에 대한 정보)
들어온 정보에 MAC을 보고 맞으면 상위 프로토콜을 살펴보고 IP가 있으면 올리고,
없으면 Drop 시킨다.
L1: 전송 ( 속도 동기화 )
- 상대방이 0101이라고 보내면 나도 0101로 받을수 있는 준비
Application :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응용프로그램이 있는 Layer
데이터를 교환할수 있는 역할
Presentation :
데이터 포맷결정과 암호화하는 Layer
Session :
접속을 설정하고 유지하고 종료
Transport :
패킷 생성, 패킷오류 관리 : 4계층 이상은 게이트웨이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양방향으로 한다.
Network :
IP(논리적) 주소관리, 경로설정 : 라우터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것
DataLink :
물리적주소 관리,데이터링크는 신뢰성 있게 전송,비트를 프레임이라는 논리적 단위로 구성: 스위치와 브리지
Physical
네트워크의 물리적 구조( 케이블, 신호관리) : 리피터와 허브
OSI 7 Layer
Application :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응용프로그램이 있는 Layer
데이터를 교환할수 있는 역할
Presentation :
데이터 포맷결정과 암호화하는 Layer
Session :
접속을 설정하고 유지하고 종료
Transport :
패킷 생성, 패킷오류 관리 : 4계층 이상은 게이트웨이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양방향으로 한다.
Network :
IP(논리적) 주소관리, 경로설정 : 라우터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것
DataLink :
물리적주소 관리,데이터링크는 신뢰성 있게 전송,비트를 프레임이라는 논리적 단위로 구성: 스위치와 브리지
Physical
네트워크의 물리적 구조( 케이블, 신호관리) : 리피터와 허브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AN이란? (0) | 2020.06.13 |
---|---|
Cisco 스위치 모드 종류와 차이점 (0) | 2020.06.12 |
OSPF Stub이 뭐죠? (0) | 2020.06.08 |
Etherchannel 이란? (0) | 2020.06.07 |
Switch 5대 기능 과정 설명. (0) | 2020.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