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7)
Native-VLAN 802.1Q dot1q Native-VLAN 802.1Q dot1q 이름을 달지 않는 vlan > 설정을 하지 않으면 vlan 1이 native vlan
VTP가 뭔가요? VTP가 뭔가요? VLAN Trunking Protocol 스위치간에 vlan정보를 주고 받아 스위치간의 vlan 정보를 일치시켜주기 위한 프로토콜 ISL(Inter-Switch Link) 시스코만의 트렁킹 프로토콜스위치와 스위치간의 링크, 스위치와 라우터간의 링크에서 여러개의 VLAN 정보를 함꼐 전달하는 방식 ISL은 Native VLAN개념이 없이 모든 VLAN에 이름표를 붙입니다. - VTP Pruning Pruning이 가치치기라는 뜻으로 트렁크로 이동하는 VLAN 트래픽 중에서 갈 필요가 없는 트렁크쪽으로 트래픽이 흘러갈 경우 그 부분으로 가지치기하듯이 잘라내겠다는 뜻입니다. VTP Pruning은 한마디로 내가 가지고 있지 않은 VLAN 정보에 대한 트래픽은 비록 모든 VLAN을 전송해 주는..
lo0을 라우터 아이디로 하는 이유 lo0을 라우터 아이디로 하는 이유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주소가 라우터 아이디가 되면, 다운되거나 끊길수가 있는데 루프백주소를 아이디로 하게 되면 그럴일이 있어서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서 lo0주소를 아이디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VLAN이란? Vlan이 무엇인가? Virtual-LAN으로 가상랜을 의미합니다. 한대의 스위치를 마치 여러대의 분리된 스위치처럼 네트워크를 나누어 쓸수 있고 여러개의 네트워크 정보를 하나의 포트를 통해 전송할수 있습니다.
Cisco 스위치 모드 종류와 차이점 Server, Client, Transparent 모드가 있습니다. 서버 모드는 자신의 Vlan을 만들거나 지울수 있고, 다른 스위치에게 전달해주거나 또한 받아올수있습니다. 클라이언트 모드는 Vlan을 만들거나 지울수 없지만, 다른 스위치에게 전달해주거나 서버로부터 vtp정보를 받아올수 있습니다. 끝으로 트랜스페어런트 모드는 자신의 vlan을 만들고 지울수 있지만, 다른 스위치에게 받아오거나 전달하지 않습니다. 예외적인 경우는 같은 도메인의 스위치로부터는 다른 스위치로 전달은 가능합니다. revision이 뭔가요? revision 넘버는 vlan이 새로 만들어지거나 지워질 경우 1씩 추가되는 번호입니다. 스위치간에 vtp 동기화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OSI 7 Layer OSI 7 Layer란?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국제표준협회ISO에서 서로 다른 컴퓨터간에 통신시 네트워크 구조에 상관없이 통신할수 있도록 만든 표준모델입니다. 국제표준협회(ISO)에서 이기종 컴퓨터간의 통신 기능을 7계층으로 구분하여 각 계층마다 표준화된 서비스와 프토로콜을 규정하여 다른 기종간에 통신시 네트워크 구조에 상관없이 통신할 수 있도록 국제 표준인 OSI 모델을 규정하였습니다. OSI 7 Layer가 생긴 이유. - 제일 처음 통신을 할때는 각 회사마다 다른 프로토콜로 통신을 하였고, 이로 인해 서로 통신이 잘 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표준화된 프로토콜이 필요하였고 그래서 만들어진 프로토콜이 OSI 7Layer 입니다. (인터넷을..
OSPF Stub이 뭐죠? OSPF Stub이 뭐죠? ABR이 내부에 있는 라우터에게 외부 경로에 대한 LSA을 차단하고, 밖으로 나가는 디폴트 경로를 알려주는 것을 말합니다. 결과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의 크기가 대폭 감소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라우팅의 성능이 좋아지며 장애처리가 수월해집니다.
Etherchannel 이란? Etherchannel 이란?네트워크 장비간에 연결하기위해 케이블을 2개 연결했다. 실제 연결한 케이블은 두개지만 이더채널을 사용하면 장비상에는 한개의 케이블로 인식한다. 링크어그리게이션(link aggregation)이라고 한다. 이더채널은 시스코에서 사용하는 링크어그리게이션의 기술이름이다. 사용하는 이유.1G케이블을 살수있는 비용이 두개밖에 없다고 가정하자. 1G 케이블이기 때문에 최대 사용할수있는 대역폭이 1G이다. 하지만 나는 최대 2G의 용량만큼 쓰고 싶다. 어떻게 해야할까? 두개의 1G케이블을 하나의 케이블처럼 만들어서 최대 2G의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요즘은 포트비용이 케이블사용보다 더 고가일수있다. 이더채널을 묶는다고 쓸데없이 비싼포트를 낭비하는 것이다. 요새 이더채널을 하는 ..
Switch 5대 기능 과정 설명. Switch 5대 기능 과정 설명. Learning : Mac address를 배우는것( 테이블에 기재 ) Flooding : 자신이 모르는 목적지 Mac Address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전체 포트로 알려달라고 보내는것 ex) broadcast Forwarding : 자신이 알고 있는 주소일경우 Mac address table을 보고 해당 포트로만 전송해주는 것 Filtering : 자신의 맥 테이블에 해당 주소가 있고 출발지와 목적지가 한 세그먼트에 있을때, 다른 영역으로 넘기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 이 기능 때문에 허브와는 다르게 콜리전 도메인 관리가 가능하다 Aging : 300초가 지날때까지 해당 맥주소로 Forwarding이 없을시 에이징 타임이 지나면 테이블에서 삭제 되는 것
허브 스위치 라우터의 차이점 허브는 콜리전 도메임을 나눠주지 못하고, 스위치는 콜리전 도메인을 포트별로 나눠줄수가 있다. 허브는 half duplex이고 스위치는 full duplex이다. sw는 mac address를 제어하고 hub는 없다. 스위치는 맥 어드레스 기반으로 같은 네트워크 영역을 연결하는데 쓰이고 라우터는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데 쓰입니다. 그래서 라우터는 보통 하나의 포트당 한개의 브로드캐스트 영역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라우터는 프로토콜이나 데이터의 크기, 중요등 여러 상황에 따라 트래픽의 전송 순서를 조정해주는 QoS기능도 제공합니다.